북한에서 사용하는 식물명, 절반이 남한과 달라

북한에서 사용하는 식물 이름의 절반 가량이 남한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학면 기자 | 기사입력 2018/08/20 [14:31]

북한에서 사용하는 식물명, 절반이 남한과 달라

북한에서 사용하는 식물 이름의 절반 가량이 남한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학면 기자 | 입력 : 2018/08/20 [14:31]

북한에서 사용하는 식물 이름의 절반 가량이 남한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올해 1월부터 최근까지 북한 지역의식물 3,523종이 담긴 조선식물지국가생물종목록*’과 비교한 결과, 북한에서는 작약이 함박꽃으로,자도나무는 추리나무로 불리는 등 약 50%1,773종의 식물명이 남한과 다르다고 밝혔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007년 개관 이래 매년 신종·미기록종 등이 담긴 국가생물종목록을 매년 연말 발표하고 있음  

조선식물지북한 식물학자(임록재 박사 등 18)에 의해 2000년에발간됐으며, 북한 지역의 식물학적연구가 총합적으로 정리되어 있는문헌이다.


식물명이 다른 경우를 유형별로 분석해 보면 외래어 순화, 비속어 척 등 남북한의 정책적인인에 의한 차이가 18%정도였고, 합성명사(-나무, -풀 등)의 유무와 같은 단순한 차이가 약 10%, 두음법칙의미사용 등의 준어 표기법 차이가 약 7%였다.


이밖에기준명(속명)차이문화의 차이에 따라 다른 것도 있다.

 

대표적으로 미나리아재비목에 속한 작약(Paeonia lactifloraPall.)북한에서는 함박꽃으로 부른다. 이 식물은 한반도를 비롯해 중국,일본, 러시아, 몽골에 분포한다.

 

장미목에 속한 자도나무(Prunus salicinaLindl.)는 북한에서는 추리나무로 불린다. 이 식물은 중국에 분포하며 한반도의 중부지방 이북에서 산다.

 

마디풀목에 속한 소리쟁이(Rumex crispus L.)는 북한에서 송구지로부르며 나물로 식용한다. 이 식물은 한반도를 비롯해 북반구 지역에 넓게 분포한다.

 

연구진은 남한의 경우 국명을 최초 부여한 문헌의 선취권을 인정하여국명이 정해지는 반면, 북한의 경우, 국가 또는 일부 학자에 의해 제시된 통일된 정책적 기준으로 식물명이 정해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한자어, 외래어, 비속어 등을 식물명에서 배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식물명에 지역 명칭 사용도 피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한편, ‘선식물지에 수록되어 있는 식물 총2009963,523종 중전 세계에서 북한지역에서만 자라는 고유종은 장군풀, 쌍실버들 등 58종으로 조사됐다.

 

한 문헌에 기록되어 있지 않는 식물은 총 314종으로 나타났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재배하는과 분류학적으로 재검토가 필요한 139종을 제외한 175종을 국가생물종목록에 추가할 예정이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이번 조사를 토대로 국가생물종목록과 북한의조선식물지의 차이점을 일목요연하게정리한 국가생물종목록집­북한지역 관속식물815발간한다.

 

이 책은 남북한에서 사용하는 식물명의 차이점을 한눈에 알 수 있게나란히기록되어 있으며, 북한 지역에서만 분포하는 식물과 남한 문헌에 기록된 적이 없는 한반도 자생 식물은 따로 표시했다.

 

국가생물종목록집­북한지역 관속식물국립생물자원관 누리집(www.nibr.go.kr) 생물다양성 이북(E-book) 코너에서 볼 수 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국가생물종목록집­북한지역 관속식물국내 문헌에 기록되어 있지 않는 한반도 자생식물의 현황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분단 이후 지속적으로 이질화되고 있는 남북한 식물명의 현황과 그 원인을 분석하고 식물명 통일화 방안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기초자료로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민환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부장은 한반도 생물다양성의체적인 규명을 위해서는 남북한 생물표본의 상호 교환, 연구자들의 공동 조사 등 남북협력이 필수라며, “‘국가생물종목록집­북한지역 관속식물이 남북한 교류의 징검다리가 되기를 희망한다라고 말했다.


 

국가생물종목록집­북한지역 관속식물표지 사진


 


남북한 식물명 비교 예시 자료

 

식물명 차이의 원인

남한


(국가생물종목록)

북한


(조선식물지)

1. 정책적 원인

비속어 기피

소경불알

만삼아재비

쥐똥나무

검정알나무

며느리밑씻개

가시덩굴여뀌

며느리배꼽

참가시덩굴여뀌

홀아비꽃대

홀꽃대

기생꽃

애기참꽃

기생여뀌

향여뀌

개머루

돌머루

개별꽃

들별꽃

개옻나무

털옻나무

외래어 순화

작약

함박꽃

백송

흰소나무

마편초

말초리풀

리기다소나무

세잎소나무

스트로브잣나무

가는잎소나무

포아풀

꿰미풀

컴프리

애국풀

라일락

큰꽃정향나무

도꼬로마

큰마

지역명 사용 지양

일본목련

황목련

일본매자나무

좀매자나무

중국단풍

애기단풍나무

중국굴피나무

풍양나무

서울제비꽃

긴털제비꽃

대구돌나물

바늘돌나물

제주진득찰

동방진득찰

복천물통이

몽울풀

부전송이풀

늪송이풀

장지석남

각시석남

진남포사초

들사초

2. 표준어표기법


차이

두음법칙 미적용

용담

룡담

육지꽃바들

륙지꽃버들

연복초

련복초

()

련꽃

나한송

라한송

기타

계요등

계뇨등

댓잎현호색

대잎현호색

눈잣나무

누운잣나무

난쟁이버들

난장이버들

밭뚝외풀

밭둑외풀

3. 단순 차이

합성명사


나무통일사용

무궁화

무궁화나무

다래

다래나무

오미자

오미자나무

화백

화백나무

홍월귤

홍월귤나무

합성명사


’, ‘통일사용

매발톱

매발톱꽃

괭이밥

괭이밥풀

노루귀

노루귀풀

띠풀

기타

가는금불초

가는잎금불초

가는골무꽃

가는잎골무꽃

가는가래

가는잎가래

갯길경

갯길경이

4. 그 외

기준명(속명) 또는 문화적 차이

소리쟁이

송구지

미나리아재비

바구지

돼지풀

쑥잎풀

감태나무

흰동백나무

자도나무

추리나무

전호

생치나물

꿩의다리

가락풀

갈퀴나물

말굴레풀

곡정초

별수염풀

회양목

고양나무

명아주

능쟁이

무릇

물구지

 


원본 기사 보기:safekoreanews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제목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스타화보
배우 이보영, 무심한 듯 쿨한 무드가 매력적인 화보 촬영 비하인드 컷 공개!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