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상 “3대 Next Big-tech로 글로벌 ICT 판 다시 짠다”

SKT의 Next Big-tech들이 본격적으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는 원년이 될 것”이라고 강조

박연파 기자 | 기사입력 2022/03/01 [10:12]

유영상 “3대 Next Big-tech로 글로벌 ICT 판 다시 짠다”

SKT의 Next Big-tech들이 본격적으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는 원년이 될 것”이라고 강조

박연파 기자 | 입력 : 2022/03/01 [10:12]

▲ SK텔레콤이 자사가 보유한 3대 Next Big-tech의 글로벌 진출을 본격화한다  © 사건의내막


[사건의내막/ 박연파 기자] =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유영상)이 MWC22가 열린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자사가 보유한 3대 ‘Next Big-tech (메타버스, AI 반도체, 양자암호)’의 글로벌 진출을 본격화한다고 1일 밝혔다.

간담회를 주관한 유영상 SKT 사장은 “2022년은 5G 상용화 이후 3년간 결집된 노하우로 탄생한 SKT의 Next Big-tech들이 본격적으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는 원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SKT는 사업 분야를 △유무선 통신 △미디어 △엔터프라이즈(Enterprise) △AIVERSE △커넥티드 인텔리전스(Connected Intelligence)의 5대 사업군으로 재편해 핵심 사업의 안정적 성장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메타버스·AI 반도체·양자암호 등 ‘3대 Next Big-tech’, 글로벌 확대 원년 될 것

SKT가 5G 상용화 이후 지난 3년간 선보인 ‘메타버스, AI 반도체, 양자암호통신’은 이번 MWC에서 전 세계 ICT Big Player들에게 많은 주목을 받고있다.

메타버스

SKT의 메타버스 서비스 ‘이프랜드’는 올해 80개국을 시작으로 글로벌 시장에 적극 진출한다. ‘이프랜드’는 국내에서 1500개 이상의 제휴 요청을 받는 등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으로 자리 잡은 것은 물론이고, 국제 통신업계에서 글로벌 통신사가 자체 개발한 성공적 메타버스 서비스라는 점에서 높은 기대와 관심을 받았다.

이번 MWC22에서도 세계 각지의 통신사들에서 협업 미팅 요청을 받으며, 대한민국 대표 메타버스 서비스로 자리 잡았다. SKT는 MWC22 자사 전시관에 전 세계에 공개될 글로벌 이프랜드의 개발 버전과 이용자의 메타버스 체험 영역 확대를 위해 개발된 ‘HMD (Head Mounted Display)’ 버전을 함께 선보였다.

또한 글로벌 혁신 서비스로의 도약을 위해 이용자가 이프랜드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선보이도록 플랫폼을 개방형으로 업그레이드하고, 크립토(NFT/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가상 공간 속 장터(Market Place)를 여는 등 서비스 업그레이드를 통해 이용자 편의를 높일 계획이다.

SKT는 앞으로 이프랜드를 AI 에이전트와 콘텐츠/경제 시스템/백엔드(backend) 인프라 등이 상호 연결되는 하나의 AIVERSE 서비스로 진화할 계획이다.

AI 반도체

SKT는 올해 또는 2023년 초까지 AI 반도체 차세대 후속 모델 출시를 통해 글로벌 AI 반도체 분야의 톱티어(Top Tier) 사업자로 도약하겠다는 계획이다. AI 반도체는 매년 44%씩 성장해 2025년 글로벌 시장 규모가 40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로, SKT는 시장 성장세와 함께 5G MEC, 머신러닝 서버 등 내부 수요도 급증하는 상황이란 판단 하에 글로벌 진출을 추진하게 됐다.

SKT는 2016년 AI 가속기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3년에 걸친 프로토타입 개발을 진행해 2020년 11월 AI 반도체 ‘사피온(SAPEON) X220’을 출시한 바 있다. 사피온 X220은 기존 GPU 대비 낮은 가격에도, 백열전구 한 개 전력으로 초당 6700개의 이미지를 처리하는 우수한 성능으로 호평을 받았다.

또 올해 초 SK스퀘어, SK하이닉스와 함께 3사 공동 투자로 미국에 사피온을 설립해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했다.

SKT는 올해 글로벌 AI 반도체 분야 영역 확대를 위해 최근 분사한 AI 반도체 전문 기업 사피온(SAPEON)과 협력해 제조·보안·미디어·자동차 영역 등에서 상용 사례를 확보하는데 전력을 쏟을 계획이다.

SKT는 차세대 AI 반도체 출시와 적극적인 글로벌 확장을 통해 오는 2027년까지 누적 매출 2조원, 기업가치 10조원 규모의 회사로 성장시키겠다고 밝혔다.

양자암호

SKT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다양화로 인해 보안의 중요성이 높아지며 날이 갈수록 적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양자암호통신 분야에서 글로벌 톱 양자암호 사업자가 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SKT는 2018년 인수한 세계 최고의 양자암호 기술 기업 ‘IDQ’를 기반으로 이미 유럽은 물론, 북미와 아시아 지역의 주요 국가 통신·금융·공공 망에서 양자암호통신 이용 사례(Use Case)를 만들어내며 세계 최고의 보안기술을 쌓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말 SKT가 제안한 ‘양자암호통신(QKD* 기반) 네트워크 통합관리규격 표준(ETSI GS QKD-018)’이 유럽전기통신표준화기구(ETSI) 산하 산업표준그룹에서 승인된 바 있다.

QKD (Quantum Key Distributor, 양자암호키분배기): 양자의 특성을 활용해 제3자가 해킹할 수 없는 암호키를 만들어 송신자와 수신자에게 나눠주는 기술

또 한국에서는 2019년 세계 최초로 SKT의 5G 백본망 221km 구간에 양자암호통신을 적용한 바 있으며 2020년에는 삼성전자와 세계 최초의 QRNG (양자 난수 발생기) 폰인 ‘갤럭시 A 퀀텀’을 출시하는 등 양자암호 생태계를 이끌고 있다.

특히 이 같은 기술력과 시장성을 바탕으로 현재 250개 곳이 넘는 고객과 파트너사를 확보해 인수 전 대비 매출이 2배 이상 성장하는 등 지속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올해는 QRNG와 QKD (양자암호 키 분배) 등 기존 상품의 판매를 확대하고, 블록체인과 양자암호 솔루션 등 보안과 관련한 새로운 영역으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유영상 사장은 “글로벌 통신/보안/IT 영역의 기업들과 협력해 글로벌 No.1 양자암호 사업자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5대 사업군으로 영역 재편해 공격적 글로벌 진출 속 새로운 성장 계획

SKT는 글로벌 트렌드의 빠른 변화 속에서 글로벌 진출과 기업의 지속 가능성 확대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단행한 5대 사업군 개편도 단행한다.

5대 사업군은 △5G를 비롯한 ‘유무선 통신’ △콘텐츠 중심 ‘미디어’ △데이터센터·클라우드·AIoT 등의 분야를 총괄하는 ‘Enterprise’ △구독과 메타버스, AI에이전트의 3대 서비스 중심 AIVERSE △UAM과 로봇, 자율주행 등 미래 사업을 준비하는 ‘커넥티드 인텔리전스(Connected Intelligence)’다.

유무선 통신은 5G 리더십을 기반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며, 미디어는 가입자 기반의 플랫폼 경쟁력을 콘텐츠, T커머스 광고 사업 등 밸류 체인(Value Chain) 전체로 확대하는 데 힘을 쏟는다. Enterprise 사업은 데이터센터의 규모 확대와 글로벌 진출, 5G MEC 기술을 활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AI 기반의 IoT, 스마트팩토리 등의 사업 고도화를 추진하게 된다. AIVERSE 서비스는 구독 상품 ‘T우주’, 메타버스, AI에이전트 등을 고객들이 전에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AI 서비스로 진화할 예정이며, 커넥티드 인텔리전스는 이름 그대로 UAM과 로봇, 자율주행 등 가까운 미래에 나타날 새로운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실제로 SKT는 UAM 사업과 관련해 지난달 7일, 글로벌 톱티어 UAM 기체 제조사 조비 에비이션(Joby Aviation)과 전략적 업무 협약을 맺는 등 강력한 글로벌 업체와의 초협력 추진은 물론, 정부 실증 사업에 참여하는 등 UAM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다.

또 커넥티드 인텔리전스의 하나로 SKT가 보유한 다양한 AI를 핵심 기술로 삼아 로봇 관련 사업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SKT는 AI 로보틱스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 기업인 씨메스(CMES)에 투자를 결정하고AI 물류 로봇 사업을 시작으로 서비스 로봇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SKT는 사업뿐만 아니라 ESG에도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배리어프리 AI (Barrier Free AI)’ 프로젝트도 전개한다.

배리어프리 AI는 고령층과 사회적 약자 지원에 AI를 적용하는 프로젝트로, SKT는 음성 AI와 비전 AI 등을 활용해 청각 장애 택시기사와 승객 간 소통을 돕는 ‘고요한M’, 시각장애인용 사물·글자 인식 지원 서비스에 음성 AI를 적용한 ‘Now I See’ 등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이 밖에 기존 대비 전략 사용량이 적은 AI 반도체 사피온과 현실 세계의 이동과 자원 소모를 가상 세계로 대체하는 메타버스 이프랜드의 확산은 SKT가 2020년 RE100 선언 후 공을 들이고 있는 Net Zero 활동에도 큰 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영상 SKT 사장은 “메타버스와 AI 반도체, 양자암호를 시작으로 본격화될 SKT 2.0의 해외 진출은 ICT 강국 대한민국이 차세대 글로벌 ICT 시장을 리드하는 기반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며 “전 세계에서 호평받을 수 있는 차별화된 기술과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penfree1@hanmail.net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기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이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an English article translated from the above article with Google Translate.

 

SKT President Yoo Young-sang, “We will rewrite the global ICT landscape with the three next big-techs”

 

It will be the first year of SKT’s next big-techs to enter the global market in earnest.”

 

[Introduction of the incident/ Reporter Park Yeon-pa] = SK Telecom (CEO and President Youngsang Yoo) held a press conference in Barcelona, ​​Spain, where MWC22 was held, and held a press conference for its three major 'Next Big-tech (Metaverse, AI semiconductors, quantum cryptography)' announced on the 1st that it will begin its global expansion in earnest.

 

SKT President Yoo Young-sang, who hosted the meeting, emphasized, “2022 will be the first year in which SKT’s next big-techs, which were created with the know-how accumulated over three years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5G, will enter the global market in earnest.”

 

In addition, SKT announced that it plans to promote stable growth of its core businesses by reorganizing its business fields into five major business group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dia △Enterprise △AIVERSE and △Connected Intelligence.

 

Metaverse, AI semiconductor, quantum cryptography, etc. ‘Three Next Big-techs’ to be the first year of global expansion

 

‘Metaverse, AI semiconductor, quantum cryptography communication’, which SKT has introduced for the past three years since the commercialization of 5G, is attracting a lot of attention from ICT big players around the world at this MWC.

 

metaverse

 

SKT's metaverse service 'Ifland' will actively enter the global market, starting in 80 countries this year. ‘Ifland’ has not only been established as a new communication platform, receiving more than 1,500 requests for partnership in Korea, but also received high expectations and interest in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industry as it is a successful metaverse service developed by a global telecommunication company.

 

At MWC22 this time, it has established itself as Korea's representative metaverse service, receiving requests for collaboration meetings from telecommunication companies around the world. SKT introduced the developed version of Global ifland, which will be unveiled to the world at MWC22, and the ‘HMD (Head Mounted Display)’ version developed to expand the user’s metaverse experience area.

 

In addition, in order to take a leap forward into a global innovative service, the platform is upgraded to an open type so that users can present various contents in IFLAND, and service upgrades such as opening a market place in a virtual space to which crypto (NFT/blockchain) technology is applied. We plan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SKT plans to evolve eFriend into a single AIVERSE service in which AI agents and content/economic system/backend infrastructure are interconnected.

 

AI semiconductor

 

SKT plans to become a top-tier operator in the global AI semiconductor field by launching the next-generation AI semiconductor next-generation model by this year or early 2023. AI semiconductor is a field that is expected to grow at an annual rate of 44% and reach 40 trillion won in global market size by 2025. did it

 

Based on the AI ​​accelerator project in 2016, SKT developed a prototype for three years and released the AI ​​semiconductor ‘SAPEON X220’ in November 2020. Sapion X220 received favorable reviews for its excellent performance of processing 6,700 images per second with the power of one incandescent light bulb, even at a lower price than existing GPUs.

 

In addition, at the beginning of this year, Sapion was established in the U.S. through a joint investment of the three companies with SK Square and SK Hynix to prepare a bridgehead for targeting the global market.

 

SKT plans to concentrate its efforts on securing commercial cases in manufacturing, security, media, and automobile fields in cooperation with SAPEON, an AI semiconductor company that was recently spun off to expand the field of global AI semiconductors this year.

 

SKT announced that it will grow into a company with cumulative sales of 2 trillion won and corporate value of 10 trillion won by 2027 through the launch of next-generation AI semiconductors and active global expansion.

 

quantum cryptography

 

SKT announced its goal of becoming a global top quantum cryptography operator in the field of quantum cryptography communication, where the importance of security is increasing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smart devices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is expanding day by day.

 

Based on 'IDQ', the world's best quantum cryptography technology company acquired in 2018, SKT has already created use cases for quantum cryptography communication in major national telecommunications, financial and public networks in North America and Asia as well as Europe. We are building the best security technology.

 

In fact, at the end of last year, the 'Quantum Cryptographic Communication (QKD*-based) Network Integrated Management Specification Standard (ETSI GS QKD-018)' proposed by SKT was approved by the Industrial Standards Group under the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Organization (ETSI).

 

QKD (Quantum Key Distributor): A technology that uses quantum characteristics to create an encryption key that cannot be hacked by a third party and distributes it to the sender and receiver

 

Also, in Korea, quantum cryptography was applied to the 221km section of SKT's 5G backbone network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in Korea in 2019. In 2020, it launched the world's first QRNG (quantum random number generator) phone, 'Galaxy A Quantum' with Samsung Electronics. is leading

 

In particular, based on such technological prowess and marketability, it has secured more than 250 customers and partners, and is producing continuous results, such as more than doubling its sales compared to before the acquisition. This year, the company plans to expand sales of existing products such as QRNG and QKD (quantum encryption key distribution), and expand its business to new areas related to security, such as blockchain and quantum encryption solutions.

 

President Yoo Young-sang said, "We will become the global No. 1 quantum cryptography operator by working with companies in the global communication/security/IT field."

 

New growth plan amid aggressive global expansion by reorganizing the area into five major business groups

 

In the midst of rapid changes in global trends, SKT will also carry out reorganization of its five major business groups to achieve the goal of global advancement and expansion of corporate sustainability.

 

The five business groups are △ 'wireless and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ing 5G △ content-oriented 'media' △ 'Enterprise' that oversees fields such as data center, cloud, and AIoT △ subscription, metaverse, and AI agent's three service-oriented AIVERSE △ UAM It is 'Connected Intelligence' that prepares for future businesses such as robots and autonomous driving.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will strengthen global competitiveness based on 5G leadership, and media will focus on expanding subscriber-based platform competitiveness to the entire value chain, including content and T-commerce advertisement business. The enterprise business will promote business advancement such as expansion of the data center and global expansion, cloud services using 5G MEC technology, AI-based IoT, and smart factories. AIVERSE service will evolve into a new AI service that customers have never experienced before, such as subscription products 'T universe', metaverse, and AI agent. It is responsible for connecting devices.

 

In fact, in relation to the UAM business, SKT not only promoted super cooperation with strong global companies, such as signing a strategic business agreement with Joby Aviation, a global top-tier UAM aircraft manufacturer, on the 7th of last month, but also participated in government demonstration projects such as UAM are taking the lead in the market.

 

In addition, SKT is planning to launch its robot-related business in earnest by using SKT's various AI as its core technology as one of the connected intelligence technologies. SKT decided to invest in CMES, a company specializing in AI robotics software development, and plans to actively promote the service robot business, starting with the AI ​​logistics robot business.

 

SKT is also developing a “Barrier Free AI” project that actively utilizes AI not only for business but also for ESG.

 

Barrier-free AI is a project that applies AI to support the elderly and the socially disadvantaged. SKT uses voice AI and vision AI to help communicate between deaf taxi drivers and passengers, 'Quiet M', object and character recogni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It is providing services such as 'Now I See', which applies voice AI to support services.

 

In addition, the spread of AI semiconductor Sapion, which uses less strategy compared to the existing ones, and Metaverse If Friends, which replaces movement and resource consumption in the real world with a virtual world, are also a great force in Net Zero activities, which SKT has been working on since its declaration of RE100 in 2020. expect this to be

 

SKT President Yoo Young-sang said, “I am confident that SKT 2.0’s overseas expansion, which will begin in earnest with metaverse, AI semiconductor, and quantum cryptography,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Korea, an ICT powerhouse, to lead the next-generation global ICT market.” We will continue to introduce differentiated technologies and services.”

 

penfree1@hanmail.net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제목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스타화보
‘마녀’ 노정의는 어쩌다 ‘마녀’가 됐나? 흑의 그림자 드리운 첫 스틸컷 공개!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