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 마도 해역서 고려시대 선체 조각 등 500여 점 발굴

기러기 모양 나무 조각품, 수중 발굴조사서 첫 확인…내년 정밀 발굴 예정

박연파 기자 | 기사입력 2023/12/20 [20:25]

태안 마도 해역서 고려시대 선체 조각 등 500여 점 발굴

기러기 모양 나무 조각품, 수중 발굴조사서 첫 확인…내년 정밀 발굴 예정

박연파 기자 | 입력 : 2023/12/20 [20:25]

[사건의내막 / 박연파 기자] =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지난 7월부터 10월까지 진행한 충남 태안군 마도 해역 발굴조사에서 고려시대 선체 조각과 기러기형 나무 조각품, 청자 접시 등 500여 점을 발굴했다.

 

태안 마도 해역은 예로부터 해난사고가 잦았던 곳으로, 조선왕조실록에 1392년(태조 4년)부터 1455년(세조 1년)까지 60여 년 동안 200척에 달하는 선박이 태안 안흥량에서 침몰했다는 기록이 있다.

 

2009년부터 올해까지 실시한 발굴조사로 고려시대 선박 3척(마도1~3호선), 조선시대 선박 1척(마도4호선) 등 고선박 4척과 유물 1만여 점을 확인했다.

 

▲ 태안 마도 해역에서 고려시대 선체 조각 등 500여 점 발굴 사진 자료(사진=문화재청)  ©



올해 발굴조사에서 확인한 길이 115㎝, 너비 31.5㎝, 높이 15㎝ 선체 조각은 방사성탄소연대측정 결과 11~12세기의 것으로 추정되며 연결부와 홈이 잘 남아있다.

 

과거 인근에서 발굴된 고려시대 침몰선인 마도2호선(2010년 발굴) 혹은 마도3호선(2011년 발굴)의 외판재일 가능성이 있으나, 또 다른 선박의 일부일 수 있어 2024년에 주변지역에 대한 수중발굴로 확인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함께 발굴한 길이 59.2㎝, 너비 11.6㎝, 높이 8.3㎝ 기러기 모양의 나무 조각품은 국내 수중발굴조사에서 처음 확인한 것으로, 대부분의 기러기형 나무 조각품은 솟대와 같이 새가 앉아있는 모습이지만 이번에 발굴된 유물은 새가 날아가는 모습이며 아래에 구멍이 남아있지 않다.

 

경국대전, 국조오례의에 의하면 기러기가 혼례, 제례 등 오례에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어, 안전한 항해를 위해 동물 공희의 개념으로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돼 향후 추가적인 분석과 제의 관련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2007년부터 올해까지 모두 10차례의 마도 해역 수중발굴조사를 완료한 데 이어, 앞으로도 지속적인 발굴조사를 통해 새로운 고선박의 흔적을 찾는 조사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penfree1@hanmail.net

 

 

*아래는 위 기사를'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Over 500 pieces of ships from the Goryeo Dynasty, including hull fragments, were excavated in the waters off Mado, Taean.

 

Wild goose-shaped wooden sculpture confirmed for the first time during an underwater excavation… Precision excavation scheduled for next year

 

[Inside story of the incident / Reporter Park Yeon-pa] =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ne Cultural Heritage under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unearthed about 500 items, including a fragment of a ship from the Goryeo Dynasty, a wild goose-shaped wooden sculpture, and a celadon plate, during an excavation survey in the waters of Mado, Taean-gun, Chungcheongnam-do, conducted from July to October. did.

 

The Taean Mado sea area has been a place where maritime accidents have occurred frequently since ancient times. According to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s many as 200 ships sank in Anheungryang, Taean, over a period of 60 years from 1392 (4th year of King Taejo) to 1455 (1st year of King Sejo). There is a record.

 

Through excavations conducted from 2009 to this year, four ancient ships, including three ships from the Goryeo Dynasty (Mado Lines 1 and 3) and one ship from the Joseon Dynasty (Mado Line 4), and approximately 10,000 artifacts were identified.

 

The 115 cm long, 31.5 cm wide, and 15 cm high hull fragment identified in this year's excavation is estimated to be from the 11th to 12th century according to radiocarbon dating, and the joints and grooves remain well.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is the outer shell of Mado No. 2 (excavated in 2010) or Mado No. 3 (excavated in 2011), a sunken ship from the Goryeo Dynasty that was excavated nearby in the past. However, it may be part of another ship, so underwater excavation in the surrounding area will be conducted in 2024. We plan to check it out.

 

In addition, the 59.2 cm long, 11.6 cm wide, and 8.3 cm high wild goose-shaped wooden sculpture excavated together was the first to be confirmed during a domestic underwater excavation survey. Most wild goose-shaped wooden sculptures show a bird sitting like a sotdae, but the one excavated this time is The relic shows a bird flying and there is no hole left underneath.

 

According to the Gyeongguk Daejeon and the National Ordinary Ordinance, there is a record of wild geese being used in Ori rites such as weddings and ancestral rites, and it is presumed that geese were used as a concept of animal sacrifice for safe navigation. Additional analysis and research related to rites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ne Cultural Heritage has completed a total of 10 underwater excavations in Mado waters from 2007 to this year, and plans to continue to search for traces of new ancient ships through continuous excavations.

 

penfree1@hanmail.net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제목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스타화보
‘마녀’ 노정의는 어쩌다 ‘마녀’가 됐나? 흑의 그림자 드리운 첫 스틸컷 공개!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