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자체, 내년 3조 3000억 원 규모 창업지원사업 추진

중기부 등 13개 부처와 88개 지자체 등 101개 기관, 429개 지원사업 추진 예정

문홍철 기자 | 기사입력 2024/12/30 [16:43]

정부·지자체, 내년 3조 3000억 원 규모 창업지원사업 추진

중기부 등 13개 부처와 88개 지자체 등 101개 기관, 429개 지원사업 추진 예정

문홍철 기자 | 입력 : 2024/12/30 [16:43]

[사건의내막 / 문홍철 기자] = 정부와 지자체가 내년에 3조 3000억 원 규모의 창업지원사업을 추진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오는 31일 3조 2940억 원 규모의 내년 중앙부처 및 지자체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를 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에는 101개 기관의 429개 창업지원사업이 포함됐고, 전체 예산은 3조 2940억 원이다.

 

중기부는 창업기업 및 예비창업자에게 창업지원사업 정보를 일괄적으로 알기 쉽게 제공하기 위해 2016년부터 창업지원사업을 통합공고해 오고 있다.

 

지원사업 유형별(8개)로는 융자가 1조 5552억 원(12개 사업)으로 가장 높은 비중(47.1%)을 차지하고, 사업화 7666억 원(23.3%), 기술개발 6292억 원(19.1%)이 뒤를 이었다.

 

중기부가 2조 9499억 원(중앙부처의 94.6%)으로 가장 많은 예산을 지원하며, 문체부(530억 원), 과기정통부(454억 원), 환경부(237억 원) 등 중앙부처(13개)는 모두 3조 1190억 원(87개 사업)을 지원한다.

 

특히, 통일부와 방위사업청은 내년부터 처음으로 창업지원사업을 신설한다.

 

▲ 분야별 창업지원사업 수 및 예산 현황(단위 : 억원, %, 개).(자료=중소벤처기업부)  ©



방사청은 방산혁신클러스터(대전, 구미), 국방기술 창업경진대회 등 3개 사업에 13억 원을 지원하고, 통일부는 북한이탈주민 기창업자 경영개선자금 지원사업, 경영컨설팅 지원사업 등 3개 사업에 8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광역 17개, 기초 71개 지방자치단체는 서울(382억 원), 경기(200억 원), 경남(186억 원) 등에서 모두 1750억 원을 투입해 342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먼저, 사업화를 위해 중기부는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등 10대 신산업 분야의 유망 창업기업을 선발해 사업화 및 성장을 지원하는 ‘초격차 스타트업1000+ 프로젝트’를 통해 1310억 원 규모로 669개 사를 지원한다.

 

혁신기술을 보유한 벤처·스타트업이 대기업의 수요에 맞춰 협업하도록 예산 70억 원으로 50개 사 내외를 지원하는 ‘딥테크 밸류업 특화 프로그램’을 신설한다.

 

환경부는 ‘에코스타트업 지원사업’을 통해 예산 230억 원으로 녹색산업분야 유망 창업 아이템이 있는 예비창업자와 창업기업 210개 사를 대상으로 창업자금 지원 및 육성 프로그램을 시행한다.

 

이어서, 기술개발을 위해서 중기부는 ‘창업성장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643억 원 늘어난 5960억 원으로 업력 7년 이하이고 연 매출액 20억원 미만인 1050여 개 창업기업에 최대 3년 동안 15억 원의 기술개발비를 출연 지원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2개 사업 247억 원 증가한 312억 원으로 ‘공공기술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지원(107억 원, 실험실 창업팀 100개 팀 지원)’, ‘실험실 특화형 창업선도대학 사업(107억 원, 116개 실험실)’ 등 4개 사업을 통해 대학·연구기관의 연구원이 창업하는 것을 돕는다.

 

또한, 중기부는 창업기업이 글로벌 선도기업과 협업해 해외시장 진출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을 통해 530억 원으로 353개 사를 지원할 예정이고, 내년부터 신규로 ‘스타트업 법률지원사업’을 신설해 18억 원의 예산으로 규제, 자금, 투자, 계약 등 법률 상담으로 600개 사를 지원할 예정이다.

 

문체부는 ‘글로벌 진출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콘텐츠 분야 스타트업의 해외진출, 투자유치 및 글로벌 교류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예산 25억 원으로 85개사 내외를 지원한다.

 

이와 함께, 중기부는 성실하게 경영했으나 실패한 기업인이 재도전할 수 있도록 재창업 융자자금을 1000억 원 증가한 2000억 원으로 확대 지원한다.

 

지자체에서는 경기도(기술창업 재도전 지원, 3억 원), 광주시(창업재도전 지원, 2억 원), 제주도(청년 다시-DREAM 재창업 지원, 1억 4000만 원) 등이 교육, 멘토링, 사업화 등을 지원해 성공적인 재창업을 유도한다.

 

이 밖에도, 중기부는 창업지원 역량이 우수한 대학을 창업중심대학(9개)으로 지정하고, 예산 775억 원으로 (예비)창업기업 약 800개 사를 선정해 사업화 자금을 지원한다.

 

더불어,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해 예산 364억 원으로 스타트업과 투자자 간 네트워킹, 투자설명회, 대·중견기업과의 다양한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 활동 등을 지원한다.

 

서울시와 관악구 등 13개 자치구에서는 서울창업허브(4곳 110억 원), 핀테크랩(2곳 100억 원) 등 창업인프라를 조성하며, 관악S밸리를 중심으로 스타트업의 집적화 및 성장을 지원한다.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 세부 내용은 ‘K-Startup 포털’과 중기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고 내년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의 세부 사업별 공고는 해당 부처와 지자체 누리집에서 개별적으로 할 예정이다.

 

조경원 중기부 창업정책관은 “이번 통합공고를 시작으로 내년에도 누구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혁신적인 기술을 바탕으로 창업에 도전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penfree1@hanmail.net

 

 

*아래는 위 기사를'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o promote 3.3 trillion won worth of startup support projects next year

 

13 ministries including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and 88 local governments, 101 organizations to promote 429 support projects

 

[Inside Story / Reporter Moon Hong-chul] =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will promote 3.3 trillion won worth of startup support projects next year.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announced on the 30th that it will announce a combined announcement of 3.294 trillion won worth of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startup support projects next year on the 31st.

 

This integrated announcement of startup support projects includes 429 startup support projects from 101 organizations, and the total budget is 3.294 trillion won.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has been announcing integrated startup support projects since 2016 in order to provide startup companies and prospective startup founders with easy-to-understand startup support project information in a single place.

 

By type of support project (8 types), loans account for the largest proportion (47.1%) at KRW 1.5552 trillion (12 projects), followed by commercialization at KRW 766.6 billion (23.3%) and technology development at KRW 629.2 billion (19.1%).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provides the largest budget at KRW 2.9499 trillion (94.6% of the central government), while central government agencies (13 types), including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KRW 53 billion),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KRW 45.4 billion),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RW 23.7 billion), provide a total of KRW 3.119 trillion (87 projects).

 

In particular,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nd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will establish a startup support project for the first time starting next year.

 

The Defense Agency plans to provide 1.3 billion won in support for three projects, including the Defense Innovation Cluster (Daejeon, Gumi) and the Defense Technology Startup Competition, and the Ministry of Unification plans to provide 800 million won in support for three projects, including the Management Improvement Fund Support Project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 Management Consulting Support Project.

 

17 metropolitan and 71 basic local governments plan to invest a total of 175 billion won in 342 projects, including Seoul (38.2 billion won), Gyeonggi (20 billion won), and Gyeongnam (18.6 billion won).

 

First, for commercialization,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will select promising startups in 10 new industries, including system semiconductors and bio/health, and support commercialization and growth through the ‘Super Gap Startup 1000+ Project’, supporting 669 companies with 131 billion won.

 

The ‘Deep Tech Value-Up Specialized Program’ will be newly established to support about 50 companies with a budget of 7 billion won so that ventures and startups with innovative technologies can collaborate with large corporations to meet their need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ill implement a startup fund support and fostering program targeting 210 prospective startups and startup companies with promising startup items in the green industry sector with a budget of 23 billion won through the ‘Eco Startup Support Project’.

 

In addition, for technology development,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plans to provide up to 1.5 billion won in technology development expenses for 1,050 startups with less than 7 years of operation and less than 2 billion won in annual sales through the ‘Startup Growth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which is an increase of 64.3 billion won to 596 billion won.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will help researchers at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start businesses through four projects, including the ‘Public Technology-Based Market-Linked Startup Exploration Support (KRW 10.7 billion, supporting 100 lab startup teams)’ and the ‘Laboratory-Specialized Startup Leading University Project (KRW 10.7 billion, supporting 116 labs)’, with KRW 31.2 billion, an increase of KRW 24.7 billion for two projects.

 

In addition,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plans to support 353 companies with KRW 53 billion through the ‘Global Corporate Collaboration Program’ so that startups can have opportunities to enter overseas markets by collaborating with global leading companies, and will newly establish the ‘Startup Legal Support Project’ starting next year, with a budget of KRW 1.8 billion to support 600 companies with legal consultations on regulations, funds, investments, contracts, etc.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ill provide support for about 85 companies with a budget of 2.5 billion won through the ‘Global Expansion Support Program’ to provide overseas expansion, investment attraction, and global exchange opportunities for content startups.

 

In addition,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will expand the re-startup loan fund by 100 billion won to 200 billion won so that entrepreneurs who have managed faithfully but failed can try again.

 

Local governments such as Gyeonggi Province (Technology Startup Re-challenge Support, 300 million won), Gwangju City (Re-startup Support, 200 million won), and Jeju Island (Youth Again-DREAM Re-startup Support, 140 million won) will support successful re-startups through education, mentoring, and commercialization.

 

In addition,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will designate universities with excellent startup support capabilities as startup-centered universities (9 universities) and select about 800 (potential) startups with a budget of 77.5 billion won to provide commercialization funds.

 

In addition, through 17 Creative Economy Innovation Centers nationwide, a budget of 36.4 billion won will be used to support networking between startups and investors, investment briefings, and various open innovation activities with large and medium-sized companies.

 

Seoul and 13 autonomous districts, including Gwanak-gu, will create startup infrastructure such as the Seoul Startup Hub (4 locations, 11 billion won) and Fintech Lab (2 locations, 10 billion won), and support the integration and growth of startups centered around Gwanak S Valley.

 

Detailed information on the integrated announcement of startup support projects can be found on the ‘K-Startup Portal’ and the website of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and detailed announcements for each project of the integrated announcement of startup support projects next year will be made individually on the websites of the relevant ministries and local governments.

 

Kyung-won Cho, Director of Startup Policy at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said, “Starting with this integrated announcement, we plan to actively support anyone to create jobs by challenging startups based on creative ideas and innovative technologies next year.”

 

penfree1@hanmail.net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제목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스타화보
‘마녀’ 노정의는 어쩌다 ‘마녀’가 됐나? 흑의 그림자 드리운 첫 스틸컷 공개!
광고
광고